1. 개인의 욕구와 권리에 기반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2. 이용자의 역량강화 프로그램 수립 운영
3. 이용자의 지역사회참여와 통합에 기반한 지원계획 수립
4. 지역사회자원의 동원과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5. 직원의 역량강화와 직원 복지의 강화
1. 개인의 욕구와 권리에 기반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 2인실 중점 운영 및 개인 공간(수납장, 침대) 확보
· 시설기능보강사업-화장실 개선, 개별보일러 교체
·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
· 가정적 분위기의 식사 환경 조성
· 결연사업의 지속적 추진
· 연고자 찾기 및 지속적 교류
· 이용자와 직원과 개별지원확대를 통해서 신뢰 관계 구축
2. 거주인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계획 수립
· 경도지적장애인의 장애수용과 긍정적 자아이미지 형성을 위한 개별, 소집단 상담
· 자기결정의 기회확대, 1:1 지원을 통한 개별여가지원을 통한 선택기회, 욕구실현의 기회제공
· 개별 인권문제 예방, 해결을 위한 별도 프로그램 운영
· 인권위원 양성교육 실시 : 이용자대상의 연간 4시간교육 중 인권위원은 별도로 추가교육 8시간이상 진행
· 서비스 질 점검, 사업평가와 사업계획시 이용자 대표자 참여로 대표로서 역할 부여
· 이용자대표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 인권상황조사 역할 보장
· 이용자 대상 사업설명회 실시
· 지역사회 내 각종 행사나 정보 제공 : 게시판 활용
3. 거주인의 지역사회참여와 통합 지원
· 이용자 개인별 지원체계 구축
· 책임사례관리자 시범시행
· 학교, 복지관, 자립생활센터 등 중요 자원체계와 연계한 사례회의, 평가 실시
· 자립(탈시설), 지역사회통합의 모델화
· 가족특성에 맞춘 개별적 상담 및 교육 실시, 다양한 가족지원 방안 개발
· 거주인의 자립 네트워크, 자립관련 전담부서 신설하여 자립지원사업과 외부네트워크 전담
4. 지역사회자원의 동원과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 봉사활동 교육 프로그램, 장애이해교육 개발 : 외부기관 연계
· 봉사활동과 실습 교육의 체계화
· 윤리위원회 발족
· 전문성, 열성, 도덕성을 갖춘 기관으로서 이미지 정립, 자정기능 강화
· 타기관과 연계하여 이용자의 특성에 맞는 봉사교육과 봉사활동 프로그램 실시
· 경증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봉사활동 교육자료 개발
· 정기 발행하는 웹진의 질을 높이고, 기존 후원자 및 잠재후원자 개발을 위한 홍보활동 강화
· 정보제공 기능을 강화 : 홈페이지, 온라인
5. 직원의 역량강화와 직원복지의 강화
· 직원 근무환경 개선을 통한 탄력근무제도 시행
· 여성이 일하기 좋은 여성친화적 직장문화 만들기
· 외부교육 연 24시간 이상 실시-공유, 사례발표 및 자문회의 정례화
· 소진, 힐링, 사기진작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정례화, 다양한 내부교육 월 1회 이상
· 해외연수 및 자기계발 기회제공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 Listen. 티타임,직원고충상담,자기계발지원,동아리활동지원,외부교육지원